본문 바로가기
그녀의생활정보

지자체 주택임대사업자 VS 세무서 임대사업자 차이점

by 선빈후부 2022. 11. 7.
반응형

다주택자가 될 수록 주택임대사업자를

생각하지 않을수 없게 되는 것 같습니다.

 

주택임대사업자는 두종류로 나뉘는거 알고 계시죠?

 

세무서임대사업자와 지자체임대사업자

두가지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세무서 임대사업자 등록은 의무

세무서 임대사업자 등록은

세무서나 홈택스에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임대사업자 신청하기

 

 

 

세무서 임대사업자 등록은

특정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의무적으로 해야합니다

 

홈택스 신청제출 사업자등록 신청/정정 사업자등록신청(개인)

 

사업자등록증 미신청 가산세

주택 임대 소득이 있는 사업자가 사업개시일로부터

20일이내 등록을 신청하지 아니한 경우

 

만약 세무서 임대사업자를 등록하지 않으면

수입금액의 0.2%의 가산세가 부과됩니다.

세무서에서 직권으로 사업자등록을 할 수도 있습니다.

 

사업개시일로부터 20일이내 사업자등록 신청서를

사업장 소재지 관할 세무서장에게 제출하면 됩니다

 

 

 


지자체 임대사업자 등록은 선택

지자체 주택임대사업자 등록은

지방자치단체(시청,구청,군청) 이나

렌트홈 홈페이지에서 신청 할 수 있습니다.

 

 

지자체 임대사업자 등록은 선택인데

그러면 임대사업자를 지자체로 하는 이유는 뭘까요?

 

 

바로 세제혜택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만큼 제약사항들도 많기 때문에 꼼꼼히 따져 봐야합니다

 

주택임대사업자 혜택

 

 

 

함께보면 도움되는 글

🔻주택임대사업자의 필수의무사항 안지키면 무조건 과태료🔻

 

 

주택임대사업자의 필수의무사항 안지키면 무조건 과태료 부과

│주택임대사업자 주요 의무사항 ✔ 임대사업자 설명 의무 임대사업자는 임차인에게 의무기간 임대료 증액 5%제한 임대주택 권리 관계 에 대해 설명해야 합니다 다가구주택의 경우에는 선순위

hjlove0901.tistory.com

 

🔻임댜사업자 보증보험 일부보증 가입조건 🔻

 

 

임대사업자 보증보험 일부보증 가입 조건+동의서류 첨부했음

이번에 임대사업자 보증보험을 가입해야 되는데 궁금한 점이 있어서 랜트홈 문의 한 내용을 알려드립니다. 임대보증보험을 가입할때 전액가입과 일부보증 가입 두가지가 있습니다. 아무래도

hjlove0901.tistory.com

 

 

🔻주택임대사업자 부기등기 등록하기/ 확인방법🔻

 

 

주택임대사업자 부기등기

■ 부기등기? 부기등기란 임대하는 주택의 등기부등본에 "민간임대주택"이라고 추가적으로 기재하는것을 말한다. 그래서 임차인이 자신이 임차할 주택의 등기부등본을 떼어 봤을때 등록임대주

hjlove0901.tistory.com

 

반응형

댓글